Bio

Sun K. Kwak is a New York-based interdisciplinary artist originally from Korea, known for her transformative "Space Drawing" and "Sculptural Drawing." Her work, using materials such as tape, plastic, wire, and found objects, breaks traditional boundaries, reshaping spatial experiences. At the heart of her practice is a performative process that liberates both the artist and the environment. Kwak's art explores the intersections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materiality and spirituality, inviting viewers to engage and expand their own sense of time and space. Rooted in her transient life, her work also reflects on border identity and the fusion of form and meaning, proposing transcendent spaces as new pictorial realities.

Kwak has had site specific solo exhibitions in places such as Brooklyn Museum (New York), Queens Museum (Bulova, New York),New Art Gallery (Walsall, England), the Carleton University Art Gallery (Ottawa, Canada), the Charles B. Wang Center (Stony Brook University, New York), Gallery Skape (Seoul, Korea) Group exhibitions include Jeju Museum of Art, Korea, the 17th Architecture Venice Biennale at St. Clemente Palace Kempinski  (Venice, Italy),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the National Taiwan Museum of Fine Arts (Taichung, Taiwan), Asian Art Museum (San Francisco), “Works & Process” a collaborative drawing performance at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Haus der Kulturen der Welt (Berlin), and the 6th Gwangju Biennale (Korea).

Press featured included at The New York Times, The New York Sun, Daily News, News Day, The New Yorker, Time Out New York, Village Voice, The Brooklyn Rail, SF Gate, San Francisco Chronicle, Washington Post, The Guardian, The Korea Times, Art in Culture magazine,  Wallganmisool magazine, Public Art Magazine, Title Magazine, New York Magazine, Maison- Marie Claire, W-magazine, Vogue Italia, Bijutsu-Techo Japan, WNYC Radio, NY1 TV, Brooklyn News12 –TV, WNBC-TYTN TV,  KBS TV, MBC TV, Arirang TV(document), YTN TV, Fuji TV . 

Artist Talk/ Visiting Artist included at National Taiwan Museum of Fine Arts, Taichung, 2015, Cu Museum at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CO, 2012, New York University for a Thesis Class “Art, Culture and Society”, New York, NY, 2011, Sook Myung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011,  Brooklyn Museum, NY, 2009, Haus der Kulturen der Welt Museum, Berlin, Germany 2008,  Chelsea College of Art and Design, London, U.K, 2008,  Pace University, NY, NY 2006, Santa Monica College, Santa Monica, CA.,2001.  

Permanent collection locations of her works include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Percent for Art” Collection of the NYC Department of Education, PS298Q, Corona, NY, Seoul City Museum of Art (Korea), Toranomon Hills Mori Tower (Tokyo, Japan), Samsung Life flagship (Gangnam, Seoul, Korea), St. Kempinski Palace, (Venice, Italy), Four Season Hotel (Orlando, Florida), CU Art Museum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CO). The James Hotel (Soho, New York) , among others.

She received her M.A. in Studio Art from New York University in 1997 and is a recipient of the Pollock Krasner Grant in both 2006 and 201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바이오

곽선경은 한국에서 태어나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인터디스플리너리 아티스트로, 변형적이고 몰입적인 작업인 "Space Drawing (공간 드로잉)" 과 "Sculptural Drawing (조각적 드로잉)" 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녀의 작업은 테이프, 플라스틱, 와이어, 거울, 금속, 발견된 오브제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평면을 넘어서는 3차원 형태로 변형시키며, 전통적인 경계를 허물고 공간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새롭게 전환시킵니다.

곽의 작업은 자신을 비워내는 수행적 과정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이는 작가와 환경을 해방시키는 행위로 이어집니다. 곽은 의식과 무의식, 물질성과 영성 사이의 경계를 넘나들며, 혼돈과 질서, 그리고 상호작용의 개념을 탐구합니다. 작품은 관람자가 물리적이고 지각적으로 참여할 때 완성되며, 이 과정에서 관람자는 자신만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감각을 확장시키고, 가시적과 비가시적 경계를 흐리게 합니다.

곽선경의 작업은 작의 이주적이고 유동적인 삶에서 비롯되었으며, 문화와 지리, 시간의 경계 속에서 형성되는 경계적 정체성을 탐구합니다. 또한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현상학적 지각, 그리고 형식과 의미의 융합과 확장을 다루며, 이러한 사유를 통해 그녀는 초월적 공간을 새로운 회화적 현실로 제안합니다.

개인전: 브루클린 뮤지엄 (뉴욕), 퀸즈 뮤지엄 (불로바, 뉴욕), 뉴아트 갤러리 (월솔, 영국), 칼튼대학 아트갤러리 (캐나다 오타와), 스토니부룩 뉴욕 주립대학교 찰스 왕 센터 등 그룹전: 제주도립미술관 ( 제주, 한국), 토론토시 주최- "뉘 블랑쉬 토론토", (캐나다), 베니스 비엔날레- 성 클레멘테궁 캠핀스키(베니스, 이탈리아) , 국립현대미술관(서울, 한국), 국립 대만미술관(타이중, 대만), 아시아 미술관(샌프란시스코), 뉴욕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안무가와 드로잉 퍼포먼스(뉴욕, 미국), 하우스 데르 쿨추렌 데르 밸트 Haus der Kulturen der Welt(베를린, 독일), 제6회 광주비엔날레( 광주, 한국) 외 다수가 있다.

프레스: 뉴욕타임즈, 데일리 썬, 뉴요커, 타임 아웃 뉴욕, 빌리지 보이스, 브루클린 레일, 에스에프 게이트, 센프란 시스코 크로니클, 와싱턴 포스트, 더 가디언, 코리아타임즈, 아트인컬처 매거진, 월간미술 매거진, 퍼블릭아트 매거진, 타이틀 매거진, 뉴욕 매거진, 메종 클레르 매거진, 더블유 매거진, 보그 이탈리아, Bijutsu-Techo Japan, WNYC 라디오, NY1 TV, Brooklyn News12 –TV, WNBC-TYTN TV, KBS TV, MBC TV, 아리랑TV(문서), YTN TV, 후지TV , "아웃사이더의 미학: 누가 한국 미술가인가?"/ "보편성의 미학: 세계화와 한국 미술" 박정애 저서 출판 등

아티스트 토크: Carleton University, Ottawa, Canada, National Taiwan Museum of Fine Arts, Taichung, 2015, Cu Museum at the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CO, 2012, New York University “Art, Culture and Society” 논문 수업, 뉴욕, 2011, 숙명여대, 서울, 한국, 2011, 브루클린 미술관, NY, 2009, Haus der Kulturen der Welt Museum, 베를린, 독일 2008, Chelsea College of Art and Design, 런던, 영국, 2008, Pace University, NY, NY 2006, Santa Monica College, Santa Monica, CA., 2001 등

콜렉션: 국립현대미술관(한국), 뉴욕시 교육청 “Percent for Art” 컬렉션, PS298Q, Corona, NY, 서울시립미술관(한국), Toranomon Hills Mori 등 영구 소장품 타워(일본 도쿄), 삼성생명 플래그십( 서울 강남 서초 사옥), 포시즌 호텔(플로리다 올랜도), CU 미술관(콜로라도대학교 볼더), 제임스 호텔(뉴욕 소호)등 이 있다.

2006년 , 2011년 폴록 크라스너 그랜트 수상, 1997년 뉴욕 대학교 스튜디오 아트 석사 , 1989 숙명여자 대학교 서양화 학사